2017년 경영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며 직장인으로서의 본업과 함께 겸업(투잡, 알바)로 컨설팅 업무를 하게 되었는데 컨설턴트로 제대로 자리잡고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학위(석사, 박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석사과정은 직장인이 병행할 수 있는 MBA 과정을 알아 보았는데 무척이나 학비가 비쌌다.
가장으로서 경제활동을 책임지고 있고 수입이 아주 많지는 않아 가능한 저렴한 학비로 할 수 있는 것을 찾다가
한국방송통신대학 MBA 과정이 학비로 저렴하고 교수님들도 대단한 학술적 역략을 가진분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https://mba.knou.ac.kr/)
내가 지원하였던 해에 경쟁률이 대략 2:1~3:1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MBA를 알아보면 알겠지만 직장에게 학위 장사(?)한다는 느낌이 좀 있고 대부분의 MBA는 지원하면
어렵지 않게 합격이 가능하지만, 한국방송통신대학의 경우 학비가 저렴하고 가성비가 높아 정원 이상이
지원하는 경우 불합격자가 발생할 수 있음을 참고하자
전공은 GM전공, HR컨설팅전공, 테크노경영전공, 마케팅전공, 회계금융전공, 경제정책전공,
국제무역전공으로 나누어져 있고 정원은 100명이다.
바쁜 직장인에게 출석 수업은 쉽지 않은데 방통대의 경우 수업이 거의 온라인이고 과제도 온라인으로
대부분 진행하여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학위 과정을 마무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기중 과목마다 세미나를 개최하여 실용 학문과 순수학문의
깊이 있는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
졸업하기 위해서는 학점이수, 졸업시험, 영어시험을 충족하여야 하지만 대부분 어렵지 않게 통과할 수 있다.
졸업논문을 작성하거나 대체로 학점을 이수하면 되는데 난이도를 생각하면 논문없이 학점이수로 졸업하는 것이
더 좋고 만약 박사 과정을 생각해 미리부터 논문과 통계등 방법론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면 논문에 도전해도 좋다.
나의 경우 평소 인사관리에 관심이 많아 HR 컨설팅 전공으로 학위를 마쳤다.

'대학원, 박사과정,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CI 학술 논문 게재 - Sustainability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0) | 2023.02.03 |
---|---|
연구방법론이 뭐야? (0) | 2023.02.03 |
박사학위 학술논문 이야기 (KCI, SCOPUS, SCI) (0) | 2023.02.03 |